남호진한의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Untitled Document
 
작성일 : 16-03-09 18:09
애들아 아프니? 엄마도 아프다! : 갱년기 엄마와 사춘기 자녀 같이 건강하기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4,568  

  보통 자녀가 청소년기가 되어 사춘기로 힘든 시기가 되면, 엄마는 갱년기를 맞이하게 되면서, 엄마와 자녀의 격렬한(?) 투쟁의 시기가 시작됩니다. 모두에게 힘든 시기이지요...

 호르몬의 변화와 생활 스트레스들로 힘든 시간을 보내야하는 엄마와 자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한방치료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갱년기에 진입한 엄마들은 체력저하와 불면을 동반하며, 우울과 짜증이 평소와 다른 형태로 일어나게 됩니다. 사춘기에 들어선 아이들 또한 신체 변화에 따른 예민함과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 및 자아가 발달하면서 자기의 주장이 강하게 됩니다. 이러한 두 불안 요소들이 합쳐져 갱년기 엄마와 청소년기 자녀들이 많이 부딪히게 됩니다.

 한의원에는 몸과 마음이 지쳐 있는 갱년기 엄마들을 위한 다양한 치료방법들이 있습니다. 다음은 한의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원인과 그에 따른 치료 방법들입니다.

한의학에서 보는 갱년기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5가지 정도로 분류하며, 각 원인에 따른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1) 신음허형 : 생식기 관련 기능이 약해지고, 진액이 부족하게 되어 상열감이나 손발바닥에 열감을 호소하며 음부의 건조감 혹은 가려움증을 호소합니다.

2) 신양허형 : 몸의 신진대사가 급격이 떨어지면서 추위를 많이 타고, 수족냉증, 안면부종, 요실금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3) 신음양양허형 : 위의 두 원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증상으로, 위의 증상들과 더불어 이명이나 어지러움 등이 더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간울형 : 극도의 스트레스로 인해 사소한 일에도 화를 내거나 짜증을 내며 불면, 상열감, 소화불량, 두통 등이 나타납니다.

5) 심비허형 : 슬픈 일이 오래 지속되거나 사려과다 및 소화기능의 허약으로 인해 가슴 두근거림, 식욕부진, 소화불량, 무기력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갱년기 치료는 원인에 따른 신체적인 증상을 고려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월경관련 문제나 다한(땀이 많이 나는 것), 안면홍조, 불면증, 피로 등 갱년기 엄마의 주된 증상과 더불어 각 원인에 따른 추가 증상들이 치료의 목표가 됩니다.

한방치료 방법에는 침치료와 자수정 왕뜸요법, 부항요법, 약침요법, 한약치료 등이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5가지 원인에 따라 치료하게 됩니다.

1) 신음허형 : 생식기 계통의 기능향상 및 음액을 보충하는 처방을 하게 됩니다.

2) 신양허형 : 몸의 양기를 길러주면서 신진대사를 활성화시켜줍니다.

3) 신음양양허형 : 부족한 음액을 보충하면서 신체 양기를 보강해줍니다.

4) 간울형 : 울체된 간기능을 풀어주고 기운을 소통시켜줍니다.

5) 심비허형: 지친 심장기능과 소화기능을 보강해주어야 합니다.

  위와 같은 치료법을 통해 갱년기 엄마들의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치료 목표로 합니다. 또한 더 나은 치료효과를 보기위해서는 적극적인 치료와 더불어 가족들의 지지도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갱년기는 호르몬의 변화뿐만 아니라, 생활사건 스트레스도 중요한 원인이기 때문입니다.

 청소년들이 사춘기를 겪으면서 유독 반항이 심해지는 이유는 신체변화에 따라 예민해지고 자아가 확고해지면서 자신만의 생각이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 청소년들은 주변 사람들 특히 부모님과 많이 부딪히게 됩니다. 또한 청소년들은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더불어 많은 학습량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지쳐있게 됩니다.

한의학에서는 청소년기중 심신이 허약한 학생들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심계 허약형: 많은 학생들이 이 유형에 속하며, 한의학에서 심장기능은 정신과 마음을 주관한다고 보는데, 과도한 학업과 급격한 신체변화 등으로 인하여 심장기능이 허약해진 경우입니다. 심계 허약형의 학생들은 사소한 것에 신경질을 부리고, 간혹 가슴 두근거림이나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보이기도 하며, 쉽게 피로를 느껴서 집중력과 지구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2) 비계 허약형 : 소화기계가 선천적으로 약하고, 잘 체하거나 설사나 변비 등 소화기계 질환이 많은 학생들입니다.

3) 폐계 허약형: 자주 감기에 걸리거나, 알레르기 비염, 천식, 아토피 질환 등으로 고생하는 학생들입니다.

4) 간계 허약형 : 코피가 잘 나고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학생들입니다.

  위와 같은 허약 체질의 청소년기들을 위한 한의학적 치료방법으로는 기초체력, 신경안정, 심장기능 및 뇌순환을 도와주는 처방을 기본으로 하여, 체질 및 원인에 따른 증상을 감안하여 한약치료를 합니다. 이와 함께 침치료와 자수정 왕뜸요법, 부항요법, 약침요법 등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질풍노도의 시기를 겪고 있는 자녀들이 원만하게 이 시기를 잘 통과할 수 있도록 부모님들의 따뜻한 격려와 응원 및 이해도 중요합니다.